mcp
MCP는 여러 AI 모델과 우리들의 데이터 시스템을 연결해주는 '표준화된 방법'입니다.
MCP 란
MCP(Model Context Protocol) 는 2024년 11월, Anthropic 이 발표한 오픈소스 프로토콜로, AI 모델이 외부의 도구, 데이터, 시스템과 표준화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MCP 관련 글들을 살펴보면, 많은 사람들이 이를 ‘AI를 위한 USB 포트’에 비유하곤 합니다.
이는 MCP를 통해 다양한 데이터 소스를 AI에 손쉽게 연결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실제로, 앤트로픽(Anthropic)의 경쟁사인 OpenAI 역시 MCP를 채택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AI가 단순한 대화형 도구를 넘어, 기업 시스템과 직접 연결되어 실제 업무에 활용되고, 현실의 데이터와 소프트웨어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존재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MCP 란 무엇인가
상단에서도 언급했듯, MCP 는 AI 가 필요한 데이터를 쉽게 불러올 수 있도록 도와주는 통신 규약(Protocol) 입니다.
MCP 는 다양한 데이터 소스를 단일 규칙으로 AI와 연결가능하고, 인증, 권한, 데이터 형식을 일관된 방식으로 처리하여 안전하게 연결하며, 재사용 가능한 연결 부품들로 효율성을 향상 시키는 기능이 있습니다.
이는 호스트, 클라이언트, 서버 3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MCP 호스트 : claude desktop, cursor 등 AI 모델을 구동하는 애플리케이션
- MCP 클라이언트 : 호스트 안에서 서버와 통신하는 모듈
- MCP 서버 : 날씨 API 등 특정 기능이나 드라이브 등 특정 데이터를 AI 에게 제공
실제 예로 동작을 이해해 보겠습니다.
AI 에게 "나 휴가 몇 일 남았지?" 라고 질문 -> AI 는 회사 內 문서, db 서버를 선택해 요청을 보내고 -> 통합 연결된 MCP 서버는 내부 문서, db 를 검색해 휴가 정책 문서 및 내 휴가 잔여일을 찾고 -> 찾은 정보를 다시 AI 에게 전달하여 -> AI 가 받은 정보로 답을 만들어 나 에게 알려줌
쉽게 정리하면, 호스트가 시키면 -> 클라이언트는 전달하고 -> 서버는 수행한다 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MCP 역할
글의 본문대로 MCP 가 무엇이다, 찍먹으로 알아보았으니 이 친구를 어떻게 활용하는지 궁금합니다.
위 질문은 개인이냐, 기업(단체) 냐 에 따라 달라집니다.
기업 입장에서는,
- 개발 비용과 시간 절약
- 한 번 MCP 서버 구축하면 기업 내 모든 직원 사용 가능 -> 경제 실현
- 기존 IT 인프라를 활용함에 비용 절약
- 데이터 접근 관리 개선
- 데이터 통합의 복잡성 해결 (ERP, CRM, 내부 정리 문서, 이슈 테이블 등 다양한 시스템을 통합)
- 보안 강화
- 중앙화된 접근 제어로 모든 AI 의 데이터를 한 곳에서 처리
의 기능들이 있고, Block(Square), Zed, Replit, Microsoft, OpenAI 등 다양한 기업들이 활용하고 있습니다.
개인 입장에서는,
구글 드라이브, 노션, 커서, 캘린더 등 AI 와 연결해 업무의 생산성을 높이는 장점이 있습니다.
MCP 는 만능인가
MCP 는 각광받고 뜨고있는 rising skill 입니다.
편하게 LLM 을 외부의 데이터나 도구와 통합해주지만, 그 이면에 고려해야할 복잡성과 이슈들에 뭐든 해결해주는 만능은 아닙니다.
수많은 로컬 서버에 연결하고 유지하는 것은 번거로운 작업이며, 가동 시간이나 보안, 확장성 등이 중요한 환경이라면 이는 더욱 번거로울 것입니다.
어찌어찌 도입하여 사용한다 해도 얼마나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가는 또 다른 이야기입니다. MCP 서버에 대해 스펙,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을 통해 내가 원하는 데이터를 얼마나 정확하게 뽑아내느냐도 관건입니다.
물론 이 모든 것은 시간이 지나면 어느 정도 해결되는 문제들 입니다.
다만 MCP의 성숙도와 호환성에 대한 문제가 야기될 것입니다.
MCP 가 AI 모델이 접근할 툴셋을 확장해 주는 좋은 프로토콜이라는 것은 부인할 수 없지만, 내가 만들고자 하는 애플리케이션 혹은 서버들에 MCP 프로토콜이 필요한가는 꼭 생각해봐야하는 포인트입니다.
마무리
MCP 는 등장한지 얼마되지 않은 새로운 기술입니다.
즉, 잠재력이 무궁무진한 기술이자 개척하기 어려운 기술이라는 양날의 모습을 가집니다.
AI 가 더욱 발전함에 MCP 라는 기술 또한 발전할 것이며, 어떤 방향으로 발전해 나아가는지 항상 관심있게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